근로기준법3 연차보상금 휴가안쓰고 돈으로 받는게 좋을까? (1년에 10일만 남기기) 최근 연차안쓰고 연차보상금으로 받는 사람들이 많아졌습니다. 특히 회사를 오래 다닐 수록 받는 돈이 늘어나서 그런데, 얼마나 아껴두는게 좋을가요? 사실 1년에 10일만 남겨두고 나머지는 휴가로 쓰는게 좋다는 사실, 법적근거와 함께 살펴봅니다. 연차보상금이란? 연차보상금은 사용하지 않은 연차를 돈으로 돌려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법적으로 정해진 휴가일만큼 쉬지 못한다면, 당연히 휴가는 내년에 사라지겠죠? 그만큼을 보장하기 위해 못쓴 휴가기간만큼의 일수를 계산하여 직장에서 돈으로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만 1년에 10일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10~15일까지는 돈으로 주지만 그 이상은 휴가로 써라고 하는 방식이 종종 보이죠. 연차보상금 계산 방법 연차보상금은 사용하지 않은 연차 일수와 일당을 곱.. 재테크/금융 꿀팁 2023. 11. 1. 직장 내 갑질 신고 방법 정리 괴롭힘 대응, 근로기준법 근거 범위 등 회사에서 일할 때 가장 힘든 일인 직장 내 갑질 신고 방법을 확인해 보려고 합니다. 각종 괴롭힘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관련 법인 근로기준법을 근거자료로 확인하고, 어디까지 신고할 수 있는지 알아봐야겠죠? 직장 내 괴롭힘이란? 우선 직장 내 괴롭힘이란 회사에서 상사가 직원에게 지위 또는 관계의 우위를 이용하여 업무를 넘은 신체적, 정신적 고통을 주는 행위를 뜻합니다. 여기서 신체적이라는 단어는 알기 쉬울 겁니다. 옛날처럼 물건을 던진다거나, 때린다거나 한다면 바로 이해가 될 겁니다. 그런데 정신적 고통이라는건 항상 모호하기도 합니다. 이걸 어디까지 인정해야 할까요? 갑질은 많은 사람들에게 심리적 고통을 주며 일상 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직장 내 갑질 근로기준법 우선 근거법이라고 할 수 있.. 국내규제정보 2023. 10. 19. 직장인 점심시간은 근로시간에 포함이 되는가? (점심시간 활용법 TOP5) 보통의 직장인은 하루 8시간을 근무합니다. 그런데 점심시간을 포함하면 9시간이죠? 과연 점심시간은 근로시간에 포함되는지를 정리해보겠습니다. 이런 시간들을 활용하는 방법 TOP5도 함께 소개합니다. 직장인 점심시간 직장인이라면 점심시간이 얼마나 중요한지 아실 것입니다. 점심시간은 짧지만 그 안에서 잠시나마 휴식을 취하고, 다음 일과를 위한 에너지를 충전하는 중요한 시간입니다. 그러나 이 시간을 제대로 활용하는 것이 쉽지 않을 수 있습니다. 자주 식사를 하는 장소, 메뉴 선택, 그리고 누구와 같이 식사를 할지 등 결정해야 할 사항들이 많기 때문입니다. 1시간은 아주 소중한데 과연 이때도 시급을 받을까요? 근로기준법 - 점심시간은 휴게시간 근로기준법 제54조에 따르면 근로시간이 4시간이 넘어가면 30분, 8시.. 재테크/금융 꿀팁 2023. 7. 30. 이전 1 다음 💲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