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규제정보/동남아시아7 중동 화장품 인증 수출 할랄 ESMA 인허가 등 중국과 일본에서 시작된 화장품 수출이 이제는 아랍까지 흘러가고 있습니다. 중동 화장품 인증을 획득하고 수출 전략을 세워보는건 어떨까요? 인허가 비용이 얼마가 나오는지부터 하나둘씩 살펴보겠습니다. 이중에서 공통적으로 필요한 할랄 및 UAE의 ESMA 인증 등에 대해서 정리합니다. 중동 화장품 소개 중동 지역은 그 독특한 문화와 환경 때문에 독자적인 화장품 시장을 갖고 있습니다. 특히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시장 중 하나죠. 작년 2022년 기준으로 중동 화장품 시장규모는 150억 달러를 넘겼으며, 앞으로 5년간 240억 달러 규모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다만 특징이라면 이슬람/비이슬람의 구분이 있다는 겁니다. 얼굴을 가리는 분들에게 메이크업이라는게 사실 의미가 어떤지 우리가 판단하기가.. 해외규제정보/동남아시아 2023. 9. 29. 인도 바라트 갑자기 국명을 바꾼다고? 모디총리와 Bharat 인도의 모디총리가 갑자기 새로운 발표를 했습니다. 국명을 바라트 (Bharat)으로 바꿀 수 있다고 말이죠. 이게 도대체 무슨 일일까 정리해 봅니다. 인도 국명 변경의 배경 인도의 모디총리는 국제석상에서 국가명을 인도가 아니라 바라트(Bharat)로 표기하기 시작했습니다. 실제로 얼마전에 열렸던 G20회의 개막식에서도 국가 명패 사용에 바라트라고 대 놓고 써두었죠. 우리는 잘 모르지만, 인도 내에서는 익숙한 단어입니다. 마치 터키가 튀르키예가 된 것처럼 이번에는 이름이 또 바뀌는 나라가 생기는 걸까요? 이러한 배경에는 인도 정부가 자국의 고유한 정체성과 역사를 강조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됩니다. 실제 인도 헌법 1조는 '인도 즉 바라트는 국가읜 연합이다' 라는 문구가 있습니다. 특히 이번 배경에는 과거에 .. 해외규제정보/동남아시아 2023. 9. 18. 싱가포르, 2050년 넷제로(NET ZERO) 목표에 대한 공개 협의 (글래스고 협약) NET ZERO 목표 2022년 9월 5일, 싱가포르의 국가기후변화 사무국(NCCS)은 정부가 제안한 2050년까지 순 제로 달성이라는 야심찬 목표에 대한 공개 협의를 시작했습니다. 싱가포르 정부는 2021년 글래스고 기후 협약에 가입한 후 현재보다 더 높은 기후 변화 완화 목표 설정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공청회를 통해 이 문제에 대한 싱가포르 국민들의 의견을 들을 예정입니다. *글래스고 기후협약: 2021년 스코틀랜드 글래스고에서 시작된 유엔기후총회에서 참가국들은 탄소저감장치가 없는 석탄발전 감축과 비효율적인 화석연료 사용을 줄이기 위해 협의함 (기후협약 합의문에 석탄과 화석연료가 언급된 첫 협약) 현재 호주, 일본, 말레이시아, 한국, 영국, 미국 및 베트남을 포함한 60개 이상의 국가가 2050년.. 해외규제정보/동남아시아 2022. 9. 18. 인도, 화학비료부 과산화수소 품질 관리 명령 발표 규제 개요 2022년 8월 24일 인도 화학 비료부는 과산화수소(품질 관리) 명령 2022 를 발표 했습니다. 이 명령은 2020년 과산화수소(품질 관리) 명령을 대체하며 공포 후 91일 후에 발효됩니다. 유일한 변경 사항은 준수해야 하는 인도 표준이 IS 2080: 1980에서 최신버전 IS 2080: 2021로 변경되었다는 것입니다. 이는 숫자에서 보이듯이 1980년의 아주 오래된 표준에서 2021의 새 표준으로 변경된다는 뜻입니다. 대상 제품에는 2018년 "인도 표준국(적합성 평가) 규정" 별표 II의 계획 I. 주문은 수출용 제품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품질 관리 명령의 조항을 위반하는 사람은 2016년 인도 표준법(Bureau of Indian Standards Act)에 따라 처벌됩니다. .. 해외규제정보/동남아시아 2022. 9. 15. 태국 정수기 안전 요구사항 초안 정수기 안전 태국 산업표준원(TISI)는 정수기 (냉온수 공급기 및 냉수 공급기)의 안전요구사항에 대한 규정을 발표합니다. 통보문 번호: G/TBT/N/THA/670 시행일: 채택일로부터 180일 이후 (미정) 영문명: Hot and Cool wather dispenser and cool water dispenser safety requirements 규정안은 기본적으로 정수기가 앞으로 해당 표준을 준수하도록 요구하고 있습니다. 대상품목은 전기기기 중에서 전압 250V미만인 물을 공급하는 정수기의 안전 요구사항이며, 기존의 태국 규격(표준)인 TIS 1375-2563 가정용 및 이와 유사한 전자기기의 안전: 일반 요구사항도 기본적으로 준수해야 합니다. 이번 안전 기준에 따라 위생뿐만 아니라 국민(사용자).. 해외규제정보/동남아시아 2022. 9. 7. 베트남, 전기전자 RoHS 국가기술 규정 베트남 산업통상부 (Ministry of Industry and Trade)는 전기전자제품의 유해화학물질 규정(RoHS)의 초안을 발표했습니다. 발표된 날짜는 올해 8월 29일로, WTO에 공식적으로 통보된 상태입니다. 관련기관은 베트남 산업통상부 뿐만 아니라, 베트남 화학청 (Vietnam Chemicals Agency)도 함께 발표한 내용입니다. 심볼 및 타이틀 (Symbol and Title) 전기전자제품에 대한 특정화학물질의 제한에 관한 국가기술규정 (베트남어 36페이지) 통보문 번호: G/TBT/N/EU/917 시행일: 2025년 1월 1일 요약 이 기술규정 초안은 부록II 에서 지정된 전기전자제품의 유해화학물질의 허용 함량 제한에 대한 기술요구사항, 시험방법 및 품질관리를 제공합니다. 베트남 .. 해외규제정보/동남아시아 2022. 9. 3. 인도(DOT), MTCTE 면제품목 발표 인도 통신부(DoT)*는 5월 24일 MTCTE 면제 품목을 발표합니다. DoT: Department of Telecommunications 면제 대상품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모바일 사용자 장비 및 해드셋 2. 서버 3. 스마트 워치 4. 스마트 카메라 5. POS (Point of Sale) 기기 MTCTE 인증 인도는 2017년 통신장비 인증을 신규로 발표합니다. 2017년 인도 규정에 따르면 모든 통신장비는 수입, 판매되기 전 제품시험과 인증을 진행해야 합니다. MTCTE의 목표는 1. 모든 통신장비가 기존 연결된 네트워크의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2. 최종 사용자의 안전보장 3. 무선 주파수로 인한 일반인의 피해 최소화 등입니다. 기존 BIS인증과 달리 무선통신기기의 인증을 시행하는 제도.. 해외규제정보/동남아시아 2022. 8. 29. 이전 1 다음 💲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