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금융 꿀팁

2025년 환율 전망과 현명한 달러 투자 전략

프리덤파크 2024. 10. 24.
반응형

달러 투자

 

최근 환율이 너무 오르고 있습니다. 이대로는 2025년 환율 전망치가 1,400원이 되어버릴 것으로 보이는 와중에 반대로 이걸 이용하여 돈을 버는 방법을 설명드리려고 합니다.

 

현명하게 달러 투자 전략을 세워보고 외국인들처럼 우리도 돈을 벌어보는건 어떨까요?

최근 25일 동안 달러 환율이 무려 70원 이상 급등하면서, 많은 투자자들이 달러 투자에 대한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과 한국의 금리 차이, 국제 금융 시장 동향, 그리고 국내 외환시장의 구조적 변화를 중심으로 살펴보겠습니다.

 

현재 환율 상황과 급등 원인

현재 원달러 환율지난 25일 동안 70원 이상 급등했으며, 이는 매우 이례적인 상황입니다. 2024년 10월 24일 기준으로 1,381.50원이 되었습니다.

곧 1,400원이 되어볼 것 같군요.

9월 28일 1달러당 1,380원대였던 환율이 불과 한 달도 안 되어 70원 이상 상승한 것입니다. 이러한 급등의 주요 원인은 미국의 금리 정책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현재 환율

미국이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인하했음에도 불구하고, 10년물 장기 국채 금리는 오히려 0.6%포인트 상승하는 특이한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미국과 한국의 금리 차이가 환율에 미치는 영향

현재 미국과 한국의 기준금리 차이는 매우 큰 상황입니다. 미국의 기준금리는 5.0%, 한국은 3.25%로 약 1.75%포인트의 차이가 존재합니다.

이러한 금리 차이는 자본의 흐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결과적으로 환율 상승 압력으로 작용합니다.

특히 미국의 장기 국채 금리가 상승하면서, 글로벌 투자자들이 상대적으로 수익률이 높은 미국 자산으로 자금을 이동시키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한국 외환시장의 구조적 문제점

한국 외환시장의 가장 큰 문제점은 달러 공급 주체의 약화입니다.

전통적으로 한국의 수출기업들이 주요 달러 공급원이었으나, 최근에는 이러한 구조가 크게 변화했습니다.

기업들의 사내 유보금이 2013년 600조원에서 2023년 1,050조원으로 증가했으며, 해외에서 번 달러를 국내로 들여오지 않고 해외 투자에 직접 활용하는 경향이 강해졌습니다.

 

외국인 투자자들의 동향과 영향

최근 외국인 투자자들의 '셀코리아'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8월에는 2.5조원, 9월에는 7.4조원, 10월에도 2.1조원 규모의 주식을 순매도했습니다. 특히 이전과 달리 주식을 매도한 자금이 채권시장으로 이동하지 않고, 아예 한국 시장을 떠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는 원화 매도와 달러 매수로 이어져 환율 상승 압력을 가중시키고 있습니다.

 

향후 환율 전망

향후 환율은 상승 압력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미국의 장기 금리 상승 추세, 한국과의 금리 차이, 외국인 투자자금 유출 등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환율 전망

특히 미국 대선에서 트럼프가 당선될 경우,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클 수 있어 환율 변동성이 더욱 확대될 수 있습니다.

 

달러 투자 전략

현재 상황에서 달러 투자는 분할 매수 전략이 유효할 것으로 보입니다. 환율이 상승할 때마다 일정 금액을 나누어 투자하는 방식을 추천합니다.

예를 들어, 1,000만원을 투자한다면 200만원씩 5회에 걸쳐 분할 매수하는 방식입니다. 또한 달러 예금, 달러 적금, 달러 ETF 등 다양한 투자 상품을 활용하여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것이 리스크 관리에 효과적입니다.

 

또한 두 번째로 달러를 적립식투자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엔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우리나라에게는 달러, 엔환율 2가지가 중요합니다.

 

그렇다면 지금처럼 비싼 달러를 사는게 아니라, 오히려 가장 싼 엔화 (현재 905원)을 산 다음 버티는 것입니다. 이걸 놔두고 자연스럽게 엔화가 오르는 순간 + 달러가 떨어진 순간 다시 재매수를 하는 방식을 쓰면 우리는 환율을 2번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달러 투자 전략 중에서 미국인이 아니라 한국인만 가능한 방식이라는게 더 매력적이죠. 만약 엔화가 떨어진 상태로 돈을 쓰고 싶다면 차라리 일본여행을 가서 돈을 쓰면 됩니다.

 

반대로 달러가 비싸기 때문에 달러 베이스의 물건은 지금 살 필요는 없습니다.

 

환율 투자 리스크

환율은 예측이 어렵고 변동성이 큰 자산이라는 점을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따라서 전체 자산의 20~30% 이내로 투자 비중을 제한하고, 정기적으로 포트폴리오를 리밸런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달러 강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글로벌 경제 상황과 정치적 이벤트에 따라 급격한 변동이 있을 수 있습니다.

 

환율 투자 리스크는 언제나 존재하기 때문에 신중하게 결정하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하는게 좋습니다.

 

결론

이제 2025년 환율 전망을 보면 계속해서 나빠진다는 느낌이 듭니다. 그렇다고 지금이라도 달러를 사두기에는 부담되는 가격인건 맞습니다.

 

미국주식에 투자하는 분들도 신경이 쓰일테니, 너무 무리해서 달러 투자를 하기보다는 엔화와 함께 3개 통화를 동시에 이용한 투자 전략을 세우는걸 고민해 보셨으면 합니다.

 

2024년에는 강달러의 시대였습니다. 2025년에도 이어질지, 떨어질지를 지켜보면서 신중하게 투자합시다.

 

기타 참고할만한 글

ETF 종목 선정방법을 정리했습니다.

 

ETF 종목 선정 방법 863개 중에 고르기

정말로 수많은 ETF가 생겼습니다. 어느순간 펀드는 사라지고 요즘에 1달에 2,3개씩 ETF가 상장하기 시작했으니 너무 많아서 뭘 사야 할지 고민이 될 겁니다. 그렇다면 ETF 종목 선정 방법을 한번 정

freedompark.tistory.com

 

반응형

댓글

💲 추천 글